글
네이버나 Daum, 싸이 를 방문하다 보면 참 많은 광고가 눈에 보입니다.
광고가 포털의 주요 수입원이라 눈에 잘띄는 자리, 클릭을 유도하는 자리 곳곳에 광고를 배치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광고가 우리의 인터넷 사용에 방해만 될까요?
저는 강제적이지 않고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노출되는 광고는 오히려 우리에게 손쉽게 제품, 브랜드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광고는 이렇게 기존 4대매체와 달리 사용자의 사용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품 및 브랜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해 줘야 하기 때문에 광고상품 기획에 참 많은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다양하고 차원이 높은 상품이 나올 수 도 있구요~
이제부터 제가 알고 있는 인터넷 광고유형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우선 인터넷 광고를 크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Display Ads. (배너 광고)
기존 오프라인 광고의 형태를 계승하여 노출중심의 가장 기본적인 인터넷 광고형태입니다.. 소비자에게 Push형 노출을 통하여 브랜드 및 캠페인 awareness를 확보하고 관련하여 다양한 고객의 interaction(이벤트참여 등) 함이 주목적이죠~
- 장점 : 낮은 가격(기존 4대 매체 대비), 과학적 광고집행, 젊은 층 타겟팅 유효
- 단점 : 임팩트 약함, 캠페인 기획 및 운영에 많은 리소스 발생
2. Search Ads. (검색 광고)
인터넷 주사용 목적인 검색행위에 기반한 광고형태입니다., 검색 결과에 연관성이 높은 광고주의 컨텐츠를 검색결과로 노출하여 브랜드 구매 정보 확인 및 바로 구매로 연결함이 주목적이죠~
- 장점 : 실 구매유도력이 높음, 제작비 거의 들지 않음
- 단점 : 실시간 캠페인 관리 및 운영 리소스 발생
그럼 좀더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1. 일반배너
일정기간 동안 브랜드 및 캠페인 고지를 목적으로 사이트 게재되는 가장 일반적인 광고형태입니다. 다른 캠페인과 롤링하여 노출하며, 일정기간 동안 많은 노출을 통하여 브랜드 및 캠페인을 인지시키거나 및 click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죠~
1-2. 리치미디어 배너
다양한 기법 등을 통해 기존의 배너광고에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강화한 배너입니다. 때문에 광고 및 캠페인의 인지도를 단기간에 높일 수 있으며, 광고화면 자체에서 네티즌과 interaction도 가능하여 다양한 크리에이티브가 가능하죠! 따라서 단가가 비싸고 일단위 판매가 대부분임으로 단기간에 이슈화가 필요할 때 주로 진행하는 목적으로 구매가 이루어집니다.
(예 : Daum 브랜딩스테이션_큐브 : http://ams.aha.daum.net/servlet/ADView?adid=dj8U)
(예 : 네이버 브랜딩보드_애로우 : http://demo.ad.naver.com/da2/?u=002N&d=arrow&v=demo)
1-3. 온라인 스폰서쉽
인터넷 주요 서비스의 스폰서를 유치. 온라인 스폰서쉽을 통하여 자연스런 브랜드 노출 및 서비스와 연계한 브랜드체험까지 가능하도록 구성한 상품입니다. 기존 배너 외 추가 상품을 통해 추가적인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포털에서는 스폰서쉽을 활용하여 서비스 기획 초기부터 이런 스폰서쉽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4. 동영상 광고
인터넷 내 동영상 컨텐츠와 연계(플레이어 혹은 동영상 내)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상품입니다, 기존 TVCF 컨텐츠 활용이 가능하며(OSMU) 더불어 interaction이 가능하여 TVCF와 internet의 장점을 결함한 상품으로 포지셔닝 중이죠~
1-5. 바이럴 광고(배너)
광고주의 브랜드 및 캠페인에 관한 내용을 컨텐츠하여 노출하는 광고입니다. 해당 컨텐츠를 일종의 정보로서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정보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제 정형화가 시도되는 광고며 아직까지 그 광고효과 지표는 한정적이라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1. 스폰서링크
검색결과 페이지 최상단에 검색어 관련 광고를 컨텐츠 검색결과로 노출, 소비자 구매결정 단계에 검색행위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은 광고효과를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2-2. Contextual AD (문맥광고)
컨텐츠 페이지의 컨텐츠(텍스트)를 분석, 해당 컨텐츠에 맞는 광고를 노출하여 보다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입니다, 주로 소액광고 예산을 가진 광고주 이거나 ROI중심의 광고주가 많이 진행합니다.
정리하다보니 실예시로 든 상품의 대부분이 Daum 상품이네요 ^^;;;
사이트 이곳저곳 돌아다니기 귀찮고... 큰 맥락에서는 타 사이트들도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본 포스팅의 제목처럼 인터넷광고의 주요유형에 대해 이해하시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0^
광고가 포털의 주요 수입원이라 눈에 잘띄는 자리, 클릭을 유도하는 자리 곳곳에 광고를 배치하여 매출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광고가 우리의 인터넷 사용에 방해만 될까요?
저는 강제적이지 않고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노출되는 광고는 오히려 우리에게 손쉽게 제품, 브랜드의 정보를 제공해 준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광고는 이렇게 기존 4대매체와 달리 사용자의 사용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제품 및 브랜드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해 줘야 하기 때문에 광고상품 기획에 참 많은 제한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다양하고 차원이 높은 상품이 나올 수 도 있구요~
이제부터 제가 알고 있는 인터넷 광고유형에 대해 정리해 볼까 합니다.
우선 인터넷 광고를 크게 2가지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Display Ads. (배너 광고)
기존 오프라인 광고의 형태를 계승하여 노출중심의 가장 기본적인 인터넷 광고형태입니다.. 소비자에게 Push형 노출을 통하여 브랜드 및 캠페인 awareness를 확보하고 관련하여 다양한 고객의 interaction(이벤트참여 등) 함이 주목적이죠~
- 장점 : 낮은 가격(기존 4대 매체 대비), 과학적 광고집행, 젊은 층 타겟팅 유효
- 단점 : 임팩트 약함, 캠페인 기획 및 운영에 많은 리소스 발생
2. Search Ads. (검색 광고)
인터넷 주사용 목적인 검색행위에 기반한 광고형태입니다., 검색 결과에 연관성이 높은 광고주의 컨텐츠를 검색결과로 노출하여 브랜드 구매 정보 확인 및 바로 구매로 연결함이 주목적이죠~
- 장점 : 실 구매유도력이 높음, 제작비 거의 들지 않음
- 단점 : 실시간 캠페인 관리 및 운영 리소스 발생
그럼 좀더 자세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1. 일반배너
일정기간 동안 브랜드 및 캠페인 고지를 목적으로 사이트 게재되는 가장 일반적인 광고형태입니다. 다른 캠페인과 롤링하여 노출하며, 일정기간 동안 많은 노출을 통하여 브랜드 및 캠페인을 인지시키거나 및 click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죠~
1-2. 리치미디어 배너
다양한 기법 등을 통해 기존의 배너광고에 멀티미디어적인 요소를 강화한 배너입니다. 때문에 광고 및 캠페인의 인지도를 단기간에 높일 수 있으며, 광고화면 자체에서 네티즌과 interaction도 가능하여 다양한 크리에이티브가 가능하죠! 따라서 단가가 비싸고 일단위 판매가 대부분임으로 단기간에 이슈화가 필요할 때 주로 진행하는 목적으로 구매가 이루어집니다.
(예 : Daum 브랜딩스테이션_큐브 : http://ams.aha.daum.net/servlet/ADView?adid=dj8U)
(예 : 네이버 브랜딩보드_애로우 : http://demo.ad.naver.com/da2/?u=002N&d=arrow&v=demo)
1-3. 온라인 스폰서쉽
인터넷 주요 서비스의 스폰서를 유치. 온라인 스폰서쉽을 통하여 자연스런 브랜드 노출 및 서비스와 연계한 브랜드체험까지 가능하도록 구성한 상품입니다. 기존 배너 외 추가 상품을 통해 추가적인 매출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포털에서는 스폰서쉽을 활용하여 서비스 기획 초기부터 이런 스폰서쉽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4. 동영상 광고
인터넷 내 동영상 컨텐츠와 연계(플레이어 혹은 동영상 내)하여 광고를 노출하는 상품입니다, 기존 TVCF 컨텐츠 활용이 가능하며(OSMU) 더불어 interaction이 가능하여 TVCF와 internet의 장점을 결함한 상품으로 포지셔닝 중이죠~
1-5. 바이럴 광고(배너)
광고주의 브랜드 및 캠페인에 관한 내용을 컨텐츠하여 노출하는 광고입니다. 해당 컨텐츠를 일종의 정보로서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정보공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제 정형화가 시도되는 광고며 아직까지 그 광고효과 지표는 한정적이라 이런 부분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2-1. 스폰서링크
검색결과 페이지 최상단에 검색어 관련 광고를 컨텐츠 검색결과로 노출, 소비자 구매결정 단계에 검색행위가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높은 광고효과를 제공하는 상품입니다.
2-2. Contextual AD (문맥광고)
컨텐츠 페이지의 컨텐츠(텍스트)를 분석, 해당 컨텐츠에 맞는 광고를 노출하여 보다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광고입니다, 주로 소액광고 예산을 가진 광고주 이거나 ROI중심의 광고주가 많이 진행합니다.
정리하다보니 실예시로 든 상품의 대부분이 Daum 상품이네요 ^^;;;
사이트 이곳저곳 돌아다니기 귀찮고... 큰 맥락에서는 타 사이트들도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본 포스팅의 제목처럼 인터넷광고의 주요유형에 대해 이해하시는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 ^0^
RECENT COMMENT